본문 바로가기
Network

OSPF (10/10)

by 리아챌 2025. 2. 17.

※ OSPF 란?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 최단 경로 우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찾고, 빠른 수렴 속도와 확장성을 제공

 

● OSPF의 주요 특징

1.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2. 빠른 수렴 속도

3. 무제한 홉 수

4. 계층적 네트워크 구조5. 멀티벤더 지원6. 라우팅 업데이트 효율화7. VLSM과 CIDR 지원

 

※ neighbor의 상태 변화

1) Down State

- OSPF가 설정되고, Hello 패킷을 전송하지만 아직 다른 라우터에게서는 헬로 패킷을 받지 못한 상태

- Full State에서 데드 주기동안 OSPF 패킷을 받지 못한 상태

-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어떤 상태에서라도 다운 상태로 바뀔 수 있음

 

2) Init State

- 자신의 Hello를 수신했지만 Hello를 송신하지 않은 상태

- Hello를 수신했지만 수신받은 내역에 자신의 Router-ID가 없는 상태

- 이 상태에서는 상대방의 Neighbor Table에는 Router-ID가 식별되지 않는다.

 

3) Two-Way State

- Neighbor와 쌍방향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

- Hello Packet의 송/수신이 완료된 상태

- Router-ID가 식별된다. DR/BDR 선출

 

4) Exstart State

- DBD를 교환 후 DBD Packet을 누가 먼저 주는지를 결정

- DBD를 먼저 주는 쪽이 Master Router

- DBD를 나중에 주는 쪽이 Slave Router

 

5) Exchange State

- DBD 교환 후 업데이트 받을 내용이 없다면 바로 Full State가 전환되고, 업데이트를 받아야 한다면 자신에게 없는 정보를 LSR에 보관하였다가 Loading State로 전환

 

6) Loading State

- 상대로부터의 DBD 수신이 끝난 후, 링크 상태 요청 리스트에 기록해 둔 것이 있으면, 링크 상태 요청 패킷(LSR)를 보내어 특정 LSA의 상세 정보를 보내줄 것을 요청

 

7) Full State

- 라우팅 정보교환이 끝난 상태

- 어디제이션트 라우터들의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 내용이 모두 일치

- OSPF가 장애가 생기거나 비정상적인 라우팅 상태가 되면 Down State

 

● OSPF - No auto summary 기능이 없다. 

 

※ IP를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router id 에러가 뜬다.

 

※ LoopBack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LoopBack 인터페이스가 Process ID로 지정됨. (우선순위가 제일 높기 때문)

 

※ OSPF 설정 - LoopBack 주소는 굳이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 관리자가 직접 router id를 지정해주면 그게 우선순위가 제일 높다.

 

※ R1과 R2가 Neighbor 관계이기 때문에 router id를 수정하려고 하면 오류가 뜬다. 

 

※ clear ip ospf process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Neighbor 관계가 초기화 된다.

 

※ Neighbor를 초기화 한 후 다시 router-id를 설정하게 되면 id 값이 설정 가능하다.(이런 방식을 하지 않으려면 처음 ospf network 주소를 입력하기 전에 router-id를 먼저 넣어주면 된다.)

 

※ hello 타임 조절하는 명령어

 

※ Hello 타임을 기본값 10에서 5로 바꾸면 Dead도 기본값 40에서 20으로 바뀐다.

 

※ 하지만 Dead 타이머 조정을 하면 Hello 타임은 바뀌지 않는다.

 

※ 디버깅 명령어 (명령어 적용, 실행 되는 모든 과정에 대한 과정들 자세히 보여줌)

 

※ 모든 디버깅 취소

 

<실습>

 

※ DR & BDR이 되는 경우 pri 값이 높을 때 (만약 동일 하다면, 비교하는 건 router ID, router ID가 제일 높은 값이 DR, 그 다음이 BDR)

 

※ R4번 라우터를 셧다운 하게 되면

 

※ 2way 역할을 BDR이 하게 되고, BDR 역할을 DR이 하게 된다.

 

※ 다시 no shutdown을 하게 되면

 

※ R4번 라우터가 2way로 변경되게 된다. (이유는 우선순위가 밀려났기 때문이다. 이제 원래 기존에 있던 라우터들이 기능을 못하게 되면 그때 BDR과 DR로 변경됨.)

 

※ 그렇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높여준다고 해서 state 값이 변경되지는 않는다.

 

※ State 상태(BDR, DR)를 내 마음대로 바꾸고 싶다면 처음에 연결할 때 우선순위 지정해줘야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Virtual-link, stub, nssa (10/17)  (0) 2025.02.17
OSPF 추가, 데비안 명령어(linux) (10/11)  (0) 2025.02.17
EIGRP (9/26 - 27)  (0) 2025.02.17
RIP (09/19 - 20)  (0) 2025.02.17
라우팅 기본 (09/12 - 13)  (0)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