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IGRP 란?
-> 시스코에서 개발한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보다 효율적이고 OSPF처럼 링크 상태 정보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
● EIGRP 주요 특징
1.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
2. DUAL 알고리즘 사용
3. 빠른 수렴 속도
4. 클래스리스 라우팅 지원
5. 멀티 프로토콜 지원
6. 자동 서머리 기능
7. 메트릭 계산 방식
● EIGRP 사용법

● R1, R2 EIGRP로 연결

● 상대 라우터와 연결 되어있는 것 확인 - sh ip eigrp neighbors

● R1과 R2가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 (상대 라우터가 추가로 가진 정보가 없다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음.)
ef) Ack는 수신확인

● Query에 대한 수신은 Reply

● ID 우선순위 선택하는 법

● EIGRP 상세 인터페이스 검색

● hello 패킷을 10초마다 보내는 명령어

● hello interval이 10초로 바뀜

● EIGRP에서 RIP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네트워크를 3개 건너왔기 때문에 3부터 시작)


● 라우터 0번(RIP)에 라우터 1번 이후의 모든 데이터가 들어온 것 확인 가능

※ metric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파라메터 확인 명령어 - show int f0/0
● RIP는 라우터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입력해줘야 한다. (Delay는 0 빠진 채로)

● 똑같은 EIGRP 형태라면 Metric 정보를 넣어줄 필요는 없다.


※ distance값 바꾸기(RIP는 재분배를 해도 AD값이 그대로 120이지만, EIGRP는 AD값이 바뀐다.)

※ 192.168.13.2 - 최적 경로
※ 192.168.12.2 - 후속 경로
2681856(FD = FeasibleDistance)/2169856(AD = Advertised Distance)


● 최적 경로 두가지 나타내기(Variance)

● EIGRP Key-chain 설정하기 (EIGRP는 RIP와 다르게 Key-chain R1 앞에 EIGRP 100을 넣어줘야 함)

● EIGRP 축약 (172.16.0.0/23 대역이 축약되어 생긴 것을 확인 가능, 홀수는 축약 불가능, 짝수만) & loopback, Default 활용

172.16.00000000.0/24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4.0
172.16.00000001.0/24

* 축약 방법 1
● default static 사용 (But, 다른 테이블에는 적용되지 않음)

※ 다른 테이블에도 default를 적용시키려면 redistribute static 명령을 사용

※ 다른 테이블에도 EX형태로 표시됨

* 축약 방법 2
● EIGRP에서 디폴트로 축약하면 모든 데이터를 모든 라우터에 포함됨(라우팅 테이블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 SSH 활성화
● 라우터가 열려있는 서비스 포트 확인하는 명령어

● SSH 포트 열기

● 라우터 SSH 활성화

※ DHCP 설정
#R1(config)#ip dhcp pool 1 - dhcp 이름을 1이라고 지정한다.
#R1(dhcp-config)#network 172.16.101.0 255.255.255.0
#R1(dhcp-config)#default-router 172.16.101.1 -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해준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Virtual-link, stub, nssa (10/17) (0) | 2025.02.17 |
---|---|
OSPF 추가, 데비안 명령어(linux) (10/11) (0) | 2025.02.17 |
OSPF (10/10) (0) | 2025.02.17 |
RIP (09/19 - 20) (0) | 2025.02.17 |
라우팅 기본 (09/12 - 13)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