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OSPF Virtual-link, stub, nssa (10/17)

리아챌 2025. 2. 17. 21:42

R3# sh ip ospf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R3# sh ip ospf database router -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더 자세히 보여주는 명령어

 

● Stub 생성 조건

1. Area 내에 ASBR(AREA가 겹치는 부분)이 없어야 함

2. Area 0(Backbone)이 아닌 경우

3. Area 내에 Virtual-link가 없어야 함

4. Area 내에 모든 Router는 Stub 설정이 되어야 함

 

※ stub을 하는 순간 neighbor가 다 끊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neighbor 부분에도 전부 설정해줘야 한다.)

 

※ stub을 사용하면 라우팅을 완전히 줄일 수 있다. stub을 설정한 곳까지의 IP주소만 보이고 나머지는 다 디폴트로 축약된 정보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stub을 설정하기 전 R3, R4의 원래 라우팅 테이블과 차이가 있다. (20번 대역이 없어지고 디폴트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 stub no-summary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라우팅 테이블을 다 줄여버리기 때문에 디폴트 IA 하나만 남게 된다.

 

● NSSA 생성 조건

 

1. Area 안에 ASBR이 있는 경우

2. 그 외 Stub와 동일

 

 

-> R2 옵션을 default-information-originate로 설정해주게 되면

 

※ 30번대 대역이 N1으로 바뀌게 된다.

 

※ R2 원래 옵션을 지우고 no-summary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NSSA를 사용한 부분 앞으로 축약되고 뒤의 정보는 다 뜨게 된다.

※ 2번 라우트는 그대로지만, 다른 라우터에선 디폴트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라우터가 요약됨.)

 

<실습>

 

※ R4에서는 R21앞으로의 내용은 축약되어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