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 (09/19 - 20)
※ RIP란?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 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터 간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 RIP 주요 특징
1. 거리 벡터 라우팅 방식 사용
2. 최대 홉 수 제한
3. 주기적인 라우팅 업데이트 (30초 마다 갱신)
4. 라우팅 루프 방지 기
● RIP 버전
RIP v1
- 클래스 풀(Classful) 라우팅 ->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
- 브로드캐스트(255.255.255.255)로 라우팅 정보 전송
RIP v2
- 클래스리스(Classless) 라우팅 -> 서브넷 마스크 정보 포함 가능
- 멀티캐스트(224.0.0.9)로 라우팅 정보 전송 (더 효율적)
- 인증 기능 추가
● RIP v2 설정 - router rip- ver 2
● RIP 인증 설정 (Key chain)
<실습>
● Loop Back 활용 - no shutdown을 하지 않고도 router끼리 연결할 수 있다.(자동으로 활성화 됨.)
※ RIP의 no auto-summary 기능 = 자동 축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명령어 사용하지 않을 시 자동축약)
● RIP,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 RIP
R1(config)# router rip
R1(config-router)# network 192.168.1.0
※ EIGRP
R1(config)# router eigrp 1
R1(config-router)# network 192.168.1.0 0.0.0.255
● 수동 축약 방법 - 연속으로 가능할 때만 축약 가능(바깥의 다른 곳으로 보낼 때 축약)-> ip summary-address rip 명령어 사용
ex) 172.16.0.0/24 : 172.16.00000000.0
172.16.1.0/24 : 172.16.00000001.0
172.16.2.0/24 : 172.16.00000010.0
172.16.3.0/24 : 172.16.00000011.0
※ 결과 테이블 (축약 후)
● RIP 안에 static 정보를 재분배해서 넣어주는 명령어
● 디폴트를 만들때 사용
● 최적 경로 10개 설정(기본값은 4)ex)
● Direct를 제외한 7번에서 오는 모든 값을 기본값 120에서 99로 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