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웨이 이중화(HSRP) - (11/28)
● FHRP(First Hop Redundancy Protocol)
: 복수개의 Gateway로 구성하고 이중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하나가 Gateway 역할을 이어서 수행하는 프로토콜
- HSRP (Hot Standby Router Protocol)
-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 GLBP (Gateway Load Balancing Protocol)
: 이중화 구성 목적
- 장비의 원활한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추가장비 도입
- 과부하 발생 시 일시적인 장애로 경로를 수정해야 될 경우를 대비
1. HSRP (Hot Standby Router Protocol)
- Cisco 전용 프로토콜
- 이중게이트웨이 사이에서 IP와 MAC Address를 공유함으로써 무정지 경로 이중화를 제공한다.
- Physical Port 동기화, VLAN Interface 동기화(L3 Switch)
- 다수의 물리적인 router를 가상의 논리적인 router로 동기화
※ HSRP의 구성
▷ Active Router(액티브 라우터)
: 가상 IP Address 로 오는 트래픽을 전송
▷ Standby Router(스탠바이 라우터)
: Active Router 장애 발생에 대비한 백업 라우터
▷ Virtual Router(가상 라우터)
: 실제 라우터가 아닌 HSRP 그룹 개념 가상라우터로 패킷이 전송되면 실제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은 액티브 라우터.
▷ Member Router(보충 멤버 라우터)
: Active, Standby 둘 다 아니지만 액티브와 스탠바이를 모니터링.
- UDP 1985번 포트 / Multicast 224.0.0.2를 사용한다.
- HSRP는 Layer-3 이상에서 동작을 수행한다.
- Hello Message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
: Priority Value = Default 100 그룹별로 설정 가능
- HSRP 그룹에서 한 대의 라우터가 Active로 선출
(Priority 높은 라우터, 혹은 먼저 작동된 라우터)
- Active Router는 헬로 메시지 전송으로 Active 역활을 수행, 유지 한다.
- Active Router 장애 시 Standby Router가 Active 역할을 수행 하는데 이는 홀드타임
(Holdtime)이 만료 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 Active 장애시 Standby Router가 Active 역할을 하고 Member Router들 중에서 Standby Router를 선출.
2. HSRP 상태
: HSRP가 설정된 라우터에는 다음 6가지 상태가 있다.
① Initial State (시작 상태) State 코드 = 0
- 모든 라우터의 처음 시작 상태, 아직 완전하게 HSRP가 동작하고 있지 않다.
설정이 변경 되거나 인터페이스가 초기화 될 때
② Learn State (학습 상태) State 코드 = 1
- 액티브 라우터에서 헬로 메시지를 아직 수진하지 못함, 가상 IP Address를 알지 못함
③ Listen State (청취 상태) State 코드 = 2
- 가상 IP Address는 인식 하지만 액티브, 스탠바이 라우터 인식 못함
설정된 홀드타임 동안 라우터에서 헬로 메시지 청취, HSRP 그룹에 참여한 액티브 스탠바이 라우터를 제외한 멤버라우터는 이 상태에 머무른다.
④ Speak State (스피크 상태) State 코드 = 4
- HSRP 라우터들은 정기적으로 헬로 메서지를 전송하며 액티브 or 스탠바이 라우터 선출에 참여
⑤ Standby State State 코드 = 8
- 액티브 라우터가 될 수 있는 후보 라우터 이며 정기적으로 헬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HSRP 그룹에는 1개의 스탠바이 라우터가 있어야 한다.
⑥ Active State State 코드 = 16
- 가상 MAC Address 와 IP Address로 전송된 패킷을 전송하는 담당
주기적인 헬로메세지 전송
3. HSRP 설정
① HSRP 그룹 정의
R1(config)#int fastEthernet 0/0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ip [Virtual IP address]
② HSRP 그룹 우선순위 설정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priority [Priority value 0-255]
※ priority 기본 값은 100 이다 액티브가 되기 위해서는 스탠바이 라우터들을 기본 값으로 설정 했다면 액티브 라우터로 설정 하려고 하는 라우터는 100보다 크게 설정.
③ HSRP Preempt 설정
장애가 발생했던 액티브 라우터가 다시 정상적으로 복구 되었을 때 다시 액티브 역활을가져오게 하는 기능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preempt
④ HSRP 그룹 타이머 설정
- 헬로 메시지에는 라우터의 우선순위, 헬로타임, 홀드타임 값을 포함하고 있다.
- 시간 단위는 초 단위 이며 msce 으로 수정 가능하다.
- Hello Time : 헬로 메시지 시간 간격
- Hold Time : 수신한 최근 헬로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
최소 헬로 타임의 3배 이상
- Time은 Active, standby 양쪽다 수정은 가능하나 Active 의 정보를 매칭.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timers [Hello interval] [Hold time] 단위 초
R1(config-if)#no standby [그룹 번호0~255] timers <== 기본값으로 되돌리기
⑤ HSRP 인터페이스 트래킹
- HSRP 외부 시리얼 구간에 장애가 발생해도 감지를 못함.
- 이 경우 액티브 라우터는 내부에 계속적으로 헬로 메시지를 보내 자신이 액티브임을 알리는데 이렇게 되면 정상적인 패킷 전송이 어렵게 된다.
- 인터페이스 트래킹은 트래킹이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오면 우선순위 값을 감소하여 스탠바이 라우터가 액티브 기능을 가져 갈 수 있도록 한다.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track [interface type number] [Decrement value]
<1-255> Decrement value * 트래킹 상황에서 감소하는 우선순위 값
R1(config-if)#no standby [그룹 번호0~255] track <== 트래킹 비활성 화
⑥ HSRP 보안 설정
- 평문 인증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authentication text [password]
- MD5
R1(config-if)#standby [그룹 번호0~255] authentication md5 key-string [password]
● HSRP 설정(standby 그룹번호(10번)는 같은 번호로 지정해주어야 함)
● 설정 후에 Standby -> Active로 바뀌었다고 메시지가 나타남
● R3에도 똑같이 설정
● 설정 후에 뜨는 메시지
● sh standby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Group번호 10번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 가능
● standby를 간단하게 보는 명령어(brief)
● 일반적으로 우선순위를 높여서 지정하면
●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상태가 Standby가 Active로 바뀌지 않는다.
● Preempt 옵션이 켜져있으면 장비가 문제가 있어서 꺼졌다가 켜졌을 때 다시 Active 상태를 가져올 때 유용하다.
● 그렇게 적용하였을 때 상태가 Standby -> Active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Hello interval을 조절하면 Active(R2)의 시간 정보를 다른 라우터도 따라간다.
● R2와 R3에 Hello time이 동일하게 적용된 것을 확인 가능
● 게이트웨이 이중화가 걸려있는 곳은 passive-interface f0/0로 한쪽은 끊어줘야한다.
● track 명령어 - priority 값을 깎는다. (Preempt 옵션이 설정되어있을 때 적용이 가능하다.)
● interface s0/0이 끊어졌을 때 priority가 11깎인다.
● interface s0/0을 끊었을 때 결과 확인
※ HSRP Version 1, 인증
● R1에서 주소를 등록 후 EIGRP로 묶어준다.
● L3 스위치를 라우터로 사용할거기 때문에, ip rout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router 형식으로 활성화 시켜주고, no switchport 명령을 사용하여 ip를 직접적으로 바로 넣어준다. (ESW2에도 동일한 작업 진행)
● VLAN 10, 20을 생성 후 interface f1/1과 1/2에 trunk를 걸어준다.
● VLAN에 각각의 주소를 넣어준 후, eigrp로 묶어준다.
● 게이트웨이 이중화가 걸려있기 때문에, VLAN 또한 passive-interface를 설정해준다.
● 라우팅 내용 저장
● L3 스위치 3, 4에도 동일하게 설정
● L3 SW1 한쪽에만 standby를 설정해주었기 때문에 VLAN 10, VLAN 20이 전부 Active로 동작하게 된다.
● L3 SW2번까지 설정을 마치고 나면
● VLAN 10은 Active로, VLAN 20은 Standby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standby 인증 거는 명령어(VLAN 10은 text 형태)
● VLAN 20에는 md5 형태로 설정
● PC에 IP 주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