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가상서버로 CentOS 7 설치 및 Linux 기초 명령어 (09/10)

리아챌 2025. 2. 19. 14:54

1. CentOS 7 다운로드 및 설치

  1. CentOS 7 DVD 다운로드
    - CentOS 7 DVD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첫 번째 다운로드는 그냥 다운로드, 두 번째는 "검사 후 다운로드"를 선택합니다.
  2. VirtualBox 설정
    • 네트워크 설정
      • 어댑터1: NAT
      • 어댑터2: 호스트 전용(Host-Only)
    • 저장소 설정
      • CentOS ISO 파일을 VirtualBox에 추가하고, 추가된 CentOS 파일을 열어 설치를 시작합니다.
  3. CentOS 7 설치 과정
    • 언어 선택
    • 소프트웨어 셀렉션에서 'Minimal Install'을 선택
    • root 비밀번호와 사용자 계정 ID 및 비밀번호 입력 (계정 ID는 이름의 일부로 설정 가능)
    ※ 주의: 계정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반드시 체크를 한 후 시작합니다. 만약 체크를 하지 않으면, wheel을 계정의 보조 그룹에 추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2. 네트워크 설정

CentOS 7을 설치한 후,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1. 현재 IP 주소 확인
    ip address show 명령어로 현재 IP 주소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합니다.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파일 수정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 ONBOOT=no를 yes로 변경하고, i 키로 수정한 후 Esc 키 두 번 누르고 :wq로 저장하여 종료합니다.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8
      • BOOTPROTO=dhcp 앞에 #을 추가하고, ONBOOT=yes로 변경 후, 수동 IP 설정을 위해 BOOTPROTO=static, IPADDR=192.168.56.100, NETMASK=255.255.255.0을 추가합니다.
    •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로 네트워크를 재시작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합니다.
  3. 네트워크 확인
    • ip -br a 명령어로 간단히 IP 주소를 확인하고, ping 8.8.8.8 명령어로 인터넷 연결 여부를 확인합니다.

3. PuTTY로 원격 접속 설정

PuTTY는 원격 접속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입니다.

  1. PuTTY 설정
    • Session 탭에서 Hostname에 192.168.56.100 입력
    • Window -> Selection에서 마우스 설정을 선택하고, Appearance에서 폰트 크기 등을 개인에 맞게 조정합니다.
    • Terminal -> Features에서 Disable application keypad mode만 체크하고, 나머지는 해제합니다.
  2. 원격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Open을 눌러 접속합니다. 접속 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원격 접속을 완료합니다.

4. 패키지 저장소 변경 및 기본 유틸리티 설치

CentOS의 기본 저장소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저장소 주소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1. 패키지 저장소 주소 변경
    • cd /etc/yum.repos.d/
    • sudo vi CentOS-Base.repo로 파일을 수정합니다. baseurl에 있는 .centos.org를 .kakao.com으로 변경합니다.
    • 수정 후 :wq로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2. 기본 유틸리티 설치 sudo yum clean all로 캐시를 정리하고, sudo yum install -y net-tools vim 명령어로 필수 유틸리티를 설치합니다.

5. 리눅스 종료 및 재부팅

서버는 보통 계속 켜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필요시 시스템 종료나 재부팅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종료:
    shutdown -h now
    • -h: 시스템 종료
    • now: 즉시 종료
  • 시스템 재부팅:
    shutdown -r +30 (30분 후 재부팅)
    shutdown -r now (즉시 재부팅)
  • 강제 종료:
    halt -f (강제 종료)

6.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들을 알아봅시다.

  • 디렉토리 이동:
    cd [경로]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위치 출력)
  • 파일 및 디렉토리 작업:
    • touch [파일명]: 빈 파일 생성
    • mk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생성
    • rm [파일명]: 파일 삭제
    • cp [파일명] [목적지]: 파일 복사
    • mv [파일명] [목적지]: 파일 이동
  • 디스크 사용량 확인: df -h: 파일 시스템의 용량 확인
  •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 현재 호스트네임 확인
    vim /etc/hostname으로 호스트네임 변경

7. 운영체제 개요 및 리눅스와 윈도우 차이점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는 커널과 GNU 프로그램이 결합된 자유 소프트웨어로, 윈도우와 달리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만을 사용하여 계층 구조를 유지합니다.

리눅스는 root 디렉토리에서부터 하위 폴더를 관리하며, 시스템은 계층형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반면, 윈도우는 여러 드라이브(C:, D:)를 사용해 시스템을 구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