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스위치 추가 (11/14)

by 리아챌 2025. 2. 19.

※ 스위치 하나에 MAC Address가 여러 개 있다? - 가능

 

● 시스코 장비들끼리만 확인 가능한 명령어

 

● 새롭게 통신을 할 때 MAC Address는 항상 지워줘야 한다.

 

● 스위치에서 MAC Address-table 지우는 명령어

 

● 들어갈 때 VLAN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들어간 다음 나가야 할 곳을 찾을 때 VLAN을 확인한다. 그렇기 때문에 VLAN 10번으로 들어갔다 하더라도 VLAN 20을 거치기 때문에 VLAN 20번 쪽으로 나가게 된다.

 

● Trunk 설정 - 여러 VLAN이 다닐 수 있는 길

Trunk Interface를 출발할 때는 tag를 붙이고 Trunk Interface에 도착했을 때는 tag를 뗀다.

 

● 서로 다른 VLAN을 연결할 때 Trunk를 사용한다.

 

● PC 1(VLAN10)과 PC 2(VLAN 20)를 통신하려고 하면 라우터를 하나 만들어, 각 PC에 게이트웨이를 설정해주면, PC 1에서 PC 2로 ping을 보내면 라우터를 통해 스위치로 들어가 PC 2번을 찾게 된다.

 

● L3 스위치로 모든 PC 통신

 

● L3 스위치를 라우터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interface에 접근해 no switchport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 사용하고 나면 라우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ip address 명령어를 사용 가능하다. (스위치이기 때문에 no shutdown 명령어를 사용할 필요 없다.)

 

● 일반적으로는 L3 기능을 가진 스위치라 하더라도 스위치이기 때문에 show ip rout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ip routing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라우터처럼 되기 때문에 show ip rout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선 한개로 PC들 통신

 

● L3 trunk 활성화 하는 법 - encapsulation dot1q를 먼저 해준다음에 mode trunk를 설정해야 한다.

 

● 스위치 1번에서도 L3 스위치 인터페이스 쪽으로 trunk를 설정해준다.

 

● 한 라우터에 IP 두개 이상 부여하는 방법

 

● interface f0/0 뒤에 .을 찍어 0 ~ 최대숫자 안에 있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sub interface가 활성화 된다. 활성화 후 그냥 바로 IP를 부여하려고 하면 에러가 뜬다.

 

● encapsulation 명령어를 사용하여 dot1Q뒤에 sub interface와 동일한 번호로 설정해야 함. 그 후, IP를 부여하면 IP가 할당 된다.

 

● 마찬가지로 남은 주소 하나 더 등록해주면

● Show ip route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했을 때 IP 두 개가 등록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