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TP 케이블과 네트워크 장비 연결
※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절연체로 감싸여 있지 않은 두 가닥이 꼬여 있는 케이블로, 랜선과 전화선으로 사용된다.
- 8P : 기본 랜선용
- 6P : 전화선용
※ 랜선 연결 방식 (T568A, T568B)
랜선 연결 방식에는 T568A와 T568B 두 가지 표준이 있다.
- T568B (일반 연결 방식, 스트레이트 케이블)
- 주띠, 주, 녹띠, 파, 파띠, 녹, 갈띠, 갈
- T568A (크로스 케이블, 동일 장비 연결 시 사용)
- 녹띠, 녹, 주띠, 파, 파띠, 주, 갈띠, 갈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T568B 배열을 주로 사용 하며, 시험에도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 STP(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UTP와 달리 절연체(은박지 같은)로 감싸져 있어 외부 간섭에 강한 케이블이다.
2. 라우터와 스위치의 역할
※ 라우터(Router)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IP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을 한다.
- 브로드캐스트 차단 기능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2개로 나뉨 (특수 목적 브로드캐스트는 통과)
- 라우팅 테이블 을 기반으로 목적지를 결정하며, 해당 정보가 없으면 패킷을 드롭(버림)한다.
라우팅 방식에는 정적(Static)과 동적(Dynamic)이 있다.
※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 수동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
- 빠르고 라우팅 테이블을 적게 사용하지만, 경로 변경 시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음
- 군대나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 사용
설정 명령어
Router(config)# ip route <네트워크 ID> <서브넷마스크> <상대방 IP>
※ 동적 라우팅 (Dynamic Routing)
- 네트워크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경로를 업데이트
- OSPF, RI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
※ 스위치(Switch)
- 각 포트가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충돌 가능성을 줄임
-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를 물리적으로 막을 수 없음
3. 네트워크 명령어 정리
명령어설명
show ip route #라우팅 테이블 확인
ip route <네트워크 ID> <서브넷마스크> <상대방 IP> #정적 라우팅 설정
ping <IP 주소> #연결 상태 확인
traceroute (Windows: tracert) #데이터가 지나가는 경로 확인
※ TTL (Time To Live)
TTL은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는 제한된 시간을 의미한다.
- 라우터를 하나 지날 때마다 1씩 감소하며, 최대값은 255
- 윈도우 기본 TTL: 128, 리눅스 기본 TTL: 64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브 & 스위치 차이점, IP 주소, 서브넷마스크 진법 변환 정리 (09/04) (0) | 2025.02.19 |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09/03) (0) | 2025.02.19 |
라우터 & OSI 7계층 & 네트워크 (8/30) (0) | 2025.02.19 |
네트워크 기초 개념 정리(8/27)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