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DTP (11/15)

by 리아챌 2025. 2. 18.

※ DTP - 시스코 스위치들간에만 가능함

● 스위치 f0/1의 모든 정보를 알려줌 - 일반적으로는 mode가 dynamic auto이지만

 

● switchport mode trunk를 사용하게 되면 mode가 turnk로 바뀌게 된다.

※ trunk mode는 SW1이 바뀌면 SW2를 강제로 바꾸라고 지시한다.

 

● 하지만 SW2에는 mode가 바뀌지 않는다.

 

● SW1에서 SW2로 정보를 한 번 전달한 마음 다시 switchport를 보게 되면 관리자 Mode는 dynamic auto이지만, Operational Mode는 Trunk로 바뀐 것을 확인 가능하다.

 

● 상대방한테 제안하는 mode

※ desirable mode는 먼저 제안을 한 다음에 SW2가 trunk로 바뀌면 SW1 자기도 trunk로 바뀐다.

 

● 그래서 SW2가 trunk로 바뀌면

 

● SW1도 trunk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SW2는 Dynamic desirable로 바뀌진 않는다.)

 

● no switchport mode를 사용하지 않고도 mode를 dynamic auto로 입력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 Trunk로 하지만 DTP신호를 보내지 않겠다는 명령어

 

● SW1에서 switchport를 보게 되면 trunk로 설정은 되어있지만, Negotiation trunking은 off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하지만 SW2는 Negotiation trunking이 on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VTP - Trunk mode일 때만 정보를 흘려 보낼 수 있다.

 

● range 명령어 - 여러 개 묶어서 한 번에 설정 값을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

 

● Version : 2는 버전 2까지 사용가능

하지만, V2 mode : disabled 되어있기 때문에 현재는 V1버전을 사용중인 것이다.

Configuration Revision은 수정을 하게 되면 올라간다.

Operating Mode가 Server이기 때문에 수정, 삭제 등이 가능한 것이다. Client만 수정, 삭제 불가능

 

● 먼저 SW1번에서 mode를 Server로 설정하고, 도메인으로 같이 묶어주고 password 지정을 해준다. (Server는 여러 개 가능하지만 위험하다. Server가 여러 개일 때 revision이 높은 쪽을 우선시 한다. 그래서 revision이 더 높음.)

 

● SW1번만 Server로 설정해주고, 나머지는 Client로 동일하게 설정

● Server에서 Vlan 설정

 

● Vlan을 3개 만들었기 때문에 Revision이 0 -> 3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vtp 패스워드 보는 명령어 

 

● Server인 SW1에서 VLAN을 만들었기 때문에 Client인 SW2, SW3에도 VLAN이 적용되어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Trunk로 묶여있기 때문)

 

● mode Server에서만 수정, 삭제 가능하기 때문에 SW3번에서 vlan을 삭제하려고 하면 에러가 뜬다.

 

● 그렇기 때문에 전부 Server인 SW1에서만 수정, 삭제 등이 가능

 

● 수정, 삭제 할때마다 Vtp Version 숫자는 계속 올라간다. (VLAN 이름을 변경 해줬기 때문에 3 -> 6으로 증가)

 

● Server에서 Vlan 이름을 수정했을 때, Client인 SW2, SW3에 Vlan 이름이 다 바뀌어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 설정 한 내용 한번에 다 지우는 명령어 (그러나, 이렇게만 하면 VLAN과 관련된 내용들은 다 남아있다.)

 

● VLAN까지 완벽히 지우려고 하면 erase로 startup-config를 먼저 지운 다음 delete vlan.dat까지 지워줘야 VLAN과 관련된 정보들이 모두 지워진다.

 

 

※ VTP - Server & Transparent & Client 사용법

 

● SW2는 Transparent Mode

 

● SW3는 Client Mode

 

● SW2에서 Trunk 활성화

 

● transparent 모드는 Server에서 VLAN 만든 정보를 자기가 설정하지는 않지만, 다른 스위치로 넘겨주는 역할을 함. (독립적으로 운영은 가능하지만(수정, 삭제 등), 자기한테 적용시키지는 않음.) - 단독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곳에서는 transparent 모드를 사용

 

● SW3은 Client이기 때문에 Server에서 설정한 VLAN 정보가 그대로 넘어온다.

 

● Revision을 초기화 하고 싶으면 mode를 transparent로 바꾸었다가 server로 다시 바꾸면 revision이 초기화 되었다가 다시 개수가 올라간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 security (11/22)  (0) 2025.02.19
Spanning Tree (11/21)  (0) 2025.02.18
스위치 (11/08)  (0) 2025.02.18
NAT (10/24, 10/30)  (0) 2025.02.18
ACL (10/18)  (0)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