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ubuntu22 명령어 (12/24) Octet - IP 주소는 8진수 discmgmt.msc - 디스크 용량 보는 명령어 (실행 창에 입력) ※ Ubuntuctrl + shift + + => 터미널 창 크기 키우기 ctrl + - => 터미널 창 크기 줄이기 ※ 한/영 키보드로 바꾸고 난 후  shift + space bar를 사용하면 한/영이 바뀐다. ● ip addr처럼 동일한 명령어(뒤에 이더넷 이름을 입력해주면 된다.) ● 버전 확인 명령어 ● 윈도우에서 powershell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윈도우 환경에서 Linux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cmd 창에서 텍스트 환경으로 사용자 계정 정보 보는 방법 ● 그래픽 환경으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 보는 방법 ● root password를 바꾸려면 sudo sh - root.. 2025. 2. 24.
Window 2008에서 DNS 설정 & Root Hint 구성 - (12/17) ※ Window 2008에서 DNS 설정     ● 설정을 마친 후 새로고침(refresh)를 누르면 x.com에 도메인 이름이 생긴다. ● 그리고 C에 dns폴더에 들어가면 조금 전에 만든 x.com.dns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가능 ● 이 파일의 내용을 보려면 Notepad로 열어야 한다. ● x.com.dns 파일을 열었을 때 나오는 내용 (Cent OS에서 DNS 설정했던 내용과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ACHE 파일을 열게 되었을 때 이 컴퓨터에 들어있는 DNS Server 목록들을 볼 수 있다. (DNS Manager에서 Properties에서의 Root Hints에서도 동일하게 확인 가능) ● 자기가 최상위로 하고 싶으면 Zone Name을 .으로 하면 된다.   ● 그럼 .. 2025. 2. 24.
DNS 총 복습 & host 파일 사용법 - (12/10) ● etc/host파일에서 이름으로 접근하게 끔 만들 수 있다. (L5C 컴퓨터에만 질의를 했기 때문에 L5C컴퓨터에만 사용가능), 자기 자신의 주소를 주는 것도 가능 ● Zone 파일을 생설할 필요는 없다. ● vi /etc/resolv.conf에서  search 뜻 : ping l5a를 했을 때 x.com.zone에 먼저 있나 찾고, 그 뒤에 y.com.zone에서 찾고, z.com.zone으로 순서대로 찾는 것을 말함.    ● 정방향, 역방향 cache 파일 구성 ● 정방향 설정 ● 역방향 설정 2025. 2. 24.
DNS 위임 복습 & Zone 복제 (12/03) ● DNS 서버들 위임 설정  ● 존 복제 구축 ● 먼저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에서 기존과 같이 세팅 후 존 복제 작업 과정   ● 복제 서버 설정 1. Master DNS Server : 주 DNS 서버 2. Slave DNS Server : 백업 DNS 서버 3. Cache only DNS Server : 캐싱 기능만 있는 DNS 서버 4. Forwarding DNS Server : 포워딩 기능만 있는 DNS 서버 5. Root Hint : DNS Server의 목록 6. SubDomain 만드는 방법 : 로컬에 생성하는 방법, 위임하는 방법 ● Local DNS이자 Caching DNS 서버 구성 ● DNS 서버 구성 리눅스(C5C)는 기존과 동일 작업.. 2025. 2. 24.
DNS Server 위임(Delegations) - (11/26) 전날 했던 거 복습 ● CNAME - 별칭 > ipconfig/flushdns - DNS 목록 초기화(ping 테스트를 할 때 초기화를 한 번씩 해주어야한다.)   ※ DNS Server 위임 - Delegations @ - x.com SOA - 권한의 시작을 나타냄 ns.x.com. - DNS 서버를 말함 root.x.com. - Mail 주소 (root@x.com)  -> xx.x.com.은 위임 정보를 남겨놓음. ● 위임해줄 zone파일을 설정한다. ● 위임해줄 zone파일 내용 편집 2025. 2. 24.
DHCP 주소 할당 & DNS 서버 & Web 서버 실습 2 (11/19) ● PC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을 때 Node에서 management 클릭 ● DNS, HTTP, Window 연동 ->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 DNS 서버 설정 과정   # vi /etc/named.rfc1912.zones 파일 설정 # vi x.com.zone 파일 설정 ● HTTP 서버 IP 할당 후 HTTP 적용 ● 그럼 이제 윈도우 서버에서 IP 설정과 DNS 서버를 등록해주면  http://192.168.10.2를 입력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 http://www.x.com를 입력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 index.html 파일에 내용을 hello^^~!로 적어주게 되면 ● 주소를 입력했을 때 내가 설정한 화면이 웹브라우저에 나타난다. 2025. 2. 24.